ebook img

Fake News(가짜 뉴스) PDF

33 Pages·2017·25.26 MB·Korean
by  
Save to my drive
Quick download
Download
Most books are stored in the elastic cloud where traffic is expensive. For this reason, we have a limit on daily download.

Preview Fake News(가짜 뉴스)

Fake News(가짜 뉴스) 개념과 대응방안 일시 2017년 2월 14일(화) 14:20~17:00 장소 한국프레스센터 18층 외신기자클럽 주최 Fake News(가짜 뉴스) 개념과 대응 방안 I 일 시 I 2017년 2월 14일(화) 14:20 ~ 17:00 I 장 소 I 한국프레스센터 18층 외신기자클럽 I 주 최 I 시 간 내 용 14:20 개 회 축 사: 김병호 (한국언론진흥재단 이사장) 14:20 ~14:25 인사말: 문철수 (한국언론학회 회장/한신대학교 교수) 사회: 양승찬 (숙명여자대학교 교수) 14:25 ~ 15:15 주제1- 페이크 뉴스 풍자인가, 기만인가? - 개념화와 여론 영향력을 중심으로 발제: 황용석 (건국대학교 교수) 주제2- 가짜 뉴스에 대한 법률적 쟁점과 대책 발제: 박아란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연구센터 선임연구위원) 15:15 ~ 15:25 휴 식 종합토론 토론: 김익현 (지디넷 미디어연구소 연구소장) 민 영 (고려대학교 교수) 15:25 ~ 17:00 안명규 (인터넷선거보도심의위원회 심의팀장) 이봉현 (한겨레신문 편집국 부국장) 이승선 (충남대학교 교수) 정필모 (KBS 방송문화연구소 연구위원) 17:00 폐 회 페이크 뉴스 풍자인가, 기만인가? - 개념화와 여론 영향력을 중심으로 01 가짜 뉴스에 대한 법률적 쟁점과 대책 20 주제 1 페이크 뉴스 풍자인가, 기만인가? - 개념화와 여론 영향력을 중심으로 황 용 석 (건국대학교 교수) 페이크 뉴스 풍자인가, 기만인가? - 개념화와 여론 영향력을 중심으로 페이크뉴스란 무엇인가? - 2 - 페이크 뉴스 풍자인가, 기만인가? - 개념화와 여론 영향력을 중심으로 • 우산적 용어(umbrella term)으로 페이 크뉴스 – 우산적용어란하나의용어안에다양한범주 의의미가혼재되어사용되는것을뜻함 – ‘페이크뉴스’라는용어가서로상이한차원에 서혼종적으로사용중 – 가짜정보의하나로서허위정보 (disinformation)과오보(misinformation) 등 다양한용어들이병존해있음 • 미국 대선이 페이크뉴스 논의의 전환점 – 페이크뉴스를의도되고조작된거짓정보 (hoax)로보고, 이것의여론영향력에관심을 가짐 Google Trend, “fake news” 검색어입력결과 - 3 - 페이크 뉴스 풍자인가, 기만인가? - 개념화와 여론 영향력을 중심으로 가짜정보의유형 허위정보(disinforamtion) 오인정보(misinformation) - 의도적으로만들어진허위정보또는오해를 - 사실이아님을인식하지못한채의도적 부르는정보로서 또는 비의도적으로전파되는정보 - 대상을속이기위해숙고해서계산된방식으 로퍼뜨리는정보 페이크뉴스 패러디(parodies)/풍자적페이크뉴 스(satirical fake news) 거짓정보(hoax) - 대상이허구임을인지할수있는상태로 허위적정보를구성 - 진실을가장해서고의로조작한정보 - 관찰이나판단오류, 선의의거짓말, 전설, 만 우절농담과구별 루머/유언비어(rumor) - 근거없이퍼지는소문등으로정보의불 확실성이주요원인중하나 • 오보 – 언론보도의포괄적인실수를의미하며, false report, incorrect report, fraud report 등으로불림 – 일반적으로취재과정에서의실수(mistake)의의미가있지만, 허위및 날조보도, 과장보도, 불공정보도, 해석상의착오(misleading report), 인 쇄등제작과정에서의실수(objective mistake report) 등의용어가혼용 되고있음 – 한국에서는‘허위보도’를대체로오보로보고있으나, 단순한사실전달 의오류에서부터과장보도등을포함하는광의의개념으로도사용됨 – 언론중재법(언론중재및피해구제등에관한법률)상의개념 • 사실적주장에관한언론보도등이전부또는일부가진실하지아니할경우 그사실관계가명확히입증된경우는‘정정보도’(제14조)를및사실관계가 불명확하거나입증이어려운경우내용의진실여부와관계없이반박내용을 게재하는‘반론보도’(제16조)를청구할수있음 – 한국에서‘오보’는등록매체법에의해언론성이부여되는매체에한정 되어사용됨 • 언론중재법제2조정의참조 - 4 - 페이크 뉴스 풍자인가, 기만인가? - 개념화와 여론 영향력을 중심으로 • 패러디(parodies) – 패러디는특정작품의소재나작가의문제를흉내내어익살스럽게표현 하는수법또는그런작품으로정의됨(김석진, 2015) • 접두사는대응대조로서의의미와일치로인한친밀성으로서의의미를내 포 • 패러디는모방을통한골계미를추구 • 해학의영역에서그치지않고옛텍스트의변형을통해파격의미학을추구 • 패러디의주체와객체가되는대상모두새로운의미를부여 – 패러디에대한법적보호이슈 • 인격권침해(명예훼손등), 저작권침해등을중심으로논의 • 학문활동, 예술활동, 정치적표현으로서공공의이익과관심등의요건을중 심으로허용범위가검토됨 • 루머 / 유언비어 – 실재할것이라는명백한증거없이사람들사이에서주로구전을통해퍼 져나가서그것을신뢰하도록만드는이야기 – 객관성을보장하지못하게한다는점에서‘‘아무근거없이널리퍼진소 문’으로유언비어와유사어로사용됨(Allport와Postman,1947) – 루머는일반적인메시지와는다르게비교적단순하면서도자극적인내 용을담고있는특징 • 루머의유형에대하여Koenig (1985)는음모성루머(conspiracy rumor)와오 염성루머(contamination rumor) 등으로 분류 – 인터넷루머 • 루머의확산속도는극단적으로짧음 • 비개인적인공간에서의무차별적인확산 • 자연소멸없이장기적인보존이가능하고유사한루머가발생할경우과거의 루머를다시회생 • 특정한집단을형성하여집단내에서의정교화와동질화과정을거쳐그루 머를내면화하는경향을보인다. - 5 - 페이크 뉴스 풍자인가, 기만인가? - 개념화와 여론 영향력을 중심으로 • 풍자적 페이크뉴스 (satirical fake news) – 비판적저널리즘한장르(Carpiniand Williams 2001)로서다양한용어 로불림 – soft news (Baum 2003), infotainment (Stockwell2004), political journalism (Baym2005), political comedy (Larris2005), late night comedy(Jones 2005), satirical journalism (Lockyer 2006), mock news (Brewer and Marquardt2007), faux news (Saltzman 2007), news parody (Boler2008; Druick2009), fake news(Gettings2007; Day 2009), news comedy (Jenkins 2009), satire news (Jones and Baym 2010) – Comedy Central이제작한Jon Stewart 진행의The Daily Show가가장 대표적인풍자적페이크뉴스의예 • 풍자적 페이크뉴스 (satirical fake news) – 비판적저널리즘한장르(Carpiniand Williams 2001)로서다양한용어들로불려옴 – soft news (Baum 2003), infotainment (Stockwell2004), political journalism (Baym 2005), political comedy (Larris2005), late night comedy(Jones 2005), satirical journalism (Lockyer 2006), mock news (Brewer and Marquardt2007), faux news (Saltzman 2007), news parody (Boler2008; Druick2009), fake news(Gettings2007; Day 2009), news comedy (Jenkins 2009), satire news (Jones and Baym2010) – Comedy Central이제작한Jon Stewart 진행의 The Daily Show가가장대표적인풍자적페이 크뉴스의예 - 6 - 페이크 뉴스 풍자인가, 기만인가? - 개념화와 여론 영향력을 중심으로 • 풍자적 페이크뉴스 (satirical fake news) – 온라인에서풍자적페이크뉴스들 • “가짜는아니지만완전히사실도아닌(not- fake-but-not-completely-true) 정보”에기반 • 어니언(The Onion), 클릭홀(Clickhole) 뉴요커의 보로위츠리포트(BorowitzReport) 등 • 클릭홀은특히가짜뉴스정신을가지고있어서 “모든콘텐츠는퍼질(viral) 권리가있다”는표어 를씀 – 풍자적페이크뉴스의판단은“진실스러움 (truthiness)”의질적문제 • 풍자적 페이크뉴스 (satirical fake news) – 부정적 영향력 • 2006년이스라엘 총선기간동안, 풍 자적페이크뉴스 이용이정치효능 감의저하, 냉소주 의, 소외감을증가 시키는데 있어페 이크뉴스를실제 로지각하는정도 에직접또는간접 적으로매개되어 효과를가짐 MeitalBalmas1 (2014 ). When Fake News Becomes Real: Combined Exposure to Multiple News Sources and Political Attitudes of Inefficacy, Alienation, and Cynicism. Communication Research, Vol. 41(3) 430–454. - 7 -

See more

The list of books you might like

Most books are stored in the elastic cloud where traffic is expensive. For this reason, we have a limit on daily download.